본문 바로가기

생두4

로스팅 방법 - 저온 장시간, 고온 단시간, 중간, 더블, 혼합 로스팅 1. Long Time(Lower Temp) Roasting(저온 장시간 로스팅) 저온 장시간 로스팅은 커피 원두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긴 시간 동안 로스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인 고온 로스팅과는 다른 특징과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낮은 온도 저온 장시간 로스팅에서는 일반적으로 150°C (302°F) 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사용합니다. 이는 원두가 천천히 로스팅 되도록 합니다. 긴 시간 저온 장시간 로스팅은 일반적으로 20분 이상의 긴 시간 동안 로스팅을 진행합니다. 이는 원두가 천천히 로스팅 되며 내부와 외부가 균일하게 로스팅 될 수 있도록 합니다. 부드럽고 균형 잡힌 맛 저온 장시간 로스팅은 원두 내부의 섬유 구조를 천천히 분해하여 부드럽고 균형 잡힌 맛을 유지할 수 있습.. 2023. 7. 13.
로스터기 종류 - 직화식, 열풍식, 반열풍식, 디지털 1. 직화식 직화식 로스터기(달궈지는 로스터)는 직접적인 열을 사용하여 커피를 로스팅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직화식 로스터기는 일반적으로 개별적인 로스터마다 다소 다를 수 있는 디자인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열원 직화식 로스터기는 가열 원리로서 직접적인 열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스 또는 전기로 가열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로스팅 방식 커피 원두는 회전하는 드럼(로스터 드럼) 안에 넣어집니다. 드럼은 열을 고르게 전달하고 원두가 균일하게 로스팅 되도록 도와줍니다. 원두는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열을 받으며, 온도와 시간에 따라 로스팅이 진행됩니다. 직접적인 열전달 직화식 로스터기는 원두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여 로스팅을 진행합니다. 이는 로.. 2023. 7. 12.
커피 로스팅의 물리적 변화 - 색상, 부피, 무게, 형태, 향, 밀도, pH, 당도 1. 색상의 변화 로스팅은 커피 원두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특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처리하는 과정입니다. 이로 인해 원두 내부의 수분이 제거되며,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이 변성됩니다. 로스팅 과정에서 원두는 색상 변화를 겪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원두는 로스팅 시작 시점에는 초록색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이 변화합니다. 로스팅의 중간 단계에서는 노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하며, 최종적으로는 갈색에서 짙은 갈색이나 검정색으로 변합니다. 로스팅 과정에서 색상 변화는 주로 마이야르 반응(Maillard reaction)과 카라멜화 반응(caramelization reaction)에 의해 일어납니다. 마이야르 반응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반응하여 풍부한 향과 복잡한 맛을 형성하는 반응으로, 로스팅 중에 주로 일어.. 2023. 7. 11.
커피 생두 분류 - 결점두, 재배고도, 국가별, SCAA Ⅰ. 결점두 분류 커피 생두는 특정 결점이나 불완전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점들은 국제 커피 협회(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와 커피 산업에서 공식적으로 정의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주요한 커피 생두 결점들과 그에 따른 분류를 설명하겠습니다. ① 녹피 결점(Broken): 커피 생두가 파손되거나 깨어져 있는 경우 발생하는 결점입니다. 큰 조각이나 작은 파편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② 녹색 불완전성(Green Immature): 커피 생두가 불완전하게 성장하여 녹색으로 남아있는 경우 발생하는 결점입니다. 성숙하지 않은 상태로 수확된 커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녹은 결점(Fermented): 커피 생두가 미생물의 영향을 받아.. 2023. 7. 7.